조의금이 맞을까? 부조금이 맞을까?
경조사와 관련된 단어들 비슷비슷하지만 정확하게 알고 있으면 사용할 때 도움이 되겠죠.
더불어 일상생활에서 잘못 사용하고 있는 말을 바르게 정리해 보았습니다.
1.경조사 관련 용어
1. 부조금 (도울 부, 도울 조, 쇠 금) : 어떤 경조사에 도움이 되도록 내는 돈을 말합니다.
즉, 기쁜 일과 슬픈 일 모두를 아우르는 자리에 사용가능합니다.
2. 조의금 ( 조상 조, 뜻 의, 쇠 금) : 장례식에서 타인의 죽음을 애도하면서 내는 돈
3. 부의금 (부의 부, 법도 의, 쇠 금) : 장례에 도움을 주기 위해 내는 돈
4. 축의금 (축하할 축, 법식 의, 쇠 금) : 축하하는 마음을 전할 때 내는 돈.결혼식, 돌잔치, 칠순잔치 등
5. 경조사 (기쁘다 경, 조상 조, 일 사) : 경사스러운 일과 불행한 일
정리하자면 ,
부조금은 축하하는 자리와 슬픈 일 모두 사용할 수 있고
조의금과 부의금은 같은 의미로 장례식장에 갔을 때 내는 돈이고
축의금은 단어 그대로 축하하는 일에 돈을 낼 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.
기쁠 때 기쁨을 함께 하고 슬플 때 슬픔을 위로하면서 십시일반으로 경제적 도움을 주자는 우리 조상들의 생활의 지혜가 엿보입니다. 사실 한 가정의 살림살이는 정해진 틀 안에서 돌아가는데 갑작스러운 경조사 관련 지출이 생길 때가 있습니다.
이럴 때 큰 지출은 부담이 될 때도 있습니다.
서로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선에서 마음을 전할 수 있는 액수를 주고받으면 서로 마음이 가볍지 않을까요?
2.잘못 사용하고 있는 말들을 바르게 정리
1.동거동락( ×) → 동고동락(ㅇ) : 같이 고생하고 같이 기뻐함.
(같을 동, 맛이쓸 고, 같을 동, 즐길 락)
2.유도심문 (×) → 유도신문 (ㅇ): 신문하는 자가 증인에게 특정 내용의 답변을 하도록 암시하면서 진행하는 신
(꾀다 유, 인도할 도, 물을 신, 물을 문)
3.나염 (×) → 날염(ㅇ) : 피륙에 무늬를 찍어 염색하는 방법
( 누를 날, 염색할 염)
4.성대묘사 (×)→ 성대모사 (ㅇ) : 다른 사람의 목소리나 동물따위의 소리를 흉내내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( 소리 성, 띠 대, 본뜨다 모, 베끼다 사)
5.체면불구 (×) → 체면불고 (ㅇ) : 체면을 돌아보지 아니함.
( 몸 체, 얼굴 면, 아니 불, 돌아볼 고)
6.호위호식 (×) → 호의호식 (ㅇ) : 좋은 옷과 좋은 음식.잘 입고 잘 먹는 생활.
( 좋을 호, 옷 의, 좋을 호, 밥 식)
7. 주야장창 (×) → 주야장천 (ㅇ) : 밤낮으로 쉬지 않고, 언제나.
( 낮 주, 밤 야, 길다 장, 내 천)
8. 풍지박산, 풍지박살 (×) →풍비박산 (ㅇ) : 바람처럼 날리고, 우박처럼 날리듯 패해서 흩어짐.
(바람 풍, 날 비, 우박 박, 날릴 산)
9. 홀홀단신 (×) → 혈혈단신 (ㅇ) : 의지할 곳 없이 오직 자신 혼자뿐인 사람을 뜻함.
( 외로울 혈, 외로울 혈, 홑 단, 몸 신)
10. 절대절명(×) → 절체절명(ㅇ) : 어찌할 수 없는 궁박한 경우를 이르는 말.
( 끊을 절, 몸 체, 끊을 절, 목숨 명)
11. 일사분란 (×) → 일사불란 (ㅇ) : 질서나 체계가 정연하여 어지러운 데가 없다.
(하나 일, 실 사, 아닐 불, 어지러울 란)
12. 산수갑산 (×) → 삼수갑산 (ㅇ) : 흔히 산이나 강을 뜻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'삼수'와 '갑산'은 함경도에 있는 산골마을로 지명입니다.
예로부터 죄인들이 귀양 가던 험한 곳으로 삼수갑산은 '한 번가면 나오기 힘든 오지'를 뜻합니다.
13. 부황 (×) → 부항 (ㅇ) : 피를 뽑는 등의 물리적 자극을 주어 병을 치료하는 방법.
(붙이다 부, 항아리 항)
14. 삼오제 (×) → 삼우제 (ㅇ) : 장례를 치른 후 3일째 되는 날 지내는 제사.
(석 삼, 근심하다 우, 제사 제)
15.49제 (×) → 49재 (ㅇ) : 사람이 죽은 뒤 49일째에 치르는 불교식 제사의례.
(넉 사, 열 십, 아홉 구, 재계하다 재- 몸과 마음을 깨끗이하다.)
16.중구남방 (×) → 중구난방 (ㅇ): 막기 어려울 정도로 여럿이 마구 떠들어 댐.
( 무리 중, 입 구, 어려울 난, 막을 방)
17. 내노라하는 (×) → 내로라하는 (ㅇ) : 어떤 분야를 대표할 만한
예) 내로라하는 정재계 인사들이 모였습니다.
18. 과반수 이상이 동의했다 (×) → 과반수가 동의했다. (ㅇ) : 과반수에 절반이 넘었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어서 과반수와 이상을 함께 쓰면 의미가 중복 됨.
노동은 인간의 세 가지 큰 악
즉, 권태와 비행,
궁핍을 덜어 준다.
- 볼테르 -
'인간은 수목과도 같다.' 니체는 왜 이런 말을 했을까요? 니체의 명언 모음입니다.↙↙↙
니체 명언 모음 .3
니체의 여러 명언들을 모아봤습니다. 짧지만 삶에 대한 지혜와 통찰력이 넘치는 명언들을 만나 보겠습니다. 1. 알맞은 정도라면 소유는 인간을 자유롭게 한다. 도를 넘어서면 소유가 주인이 되
pinkcube.tistory.com
장기수선충당금 돌려받는법↓↓↓
장기수선충당금 반환
아파트 전월세 임차인들은 매월 관리비를 납부하게 됩니다. 여러 항목 중에서 아파트 소유주인 임대인이 납부해야 할 항목을 사용자인 임차인이 납부하고 있는 항목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장기
pinkcube.tistory.com
'라이프 > 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4절기 전체 음력 및 양력 (0) | 2023.08.11 |
---|---|
무량판 구조 아파트 확인방법 (2) | 2023.08.05 |
주택연금 보증료, 주택연금 이자 ,주택연금 단점 (0) | 2023.07.26 |
주택연금 가입조건 및 신청방법, 예상수령액 (0) | 2023.07.25 |
국민연금 조기수령-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요건 (0) | 2023.07.19 |